MATLAB을 맨 처음 시작하면 아래의 그림...과 같이 나타나지는 않을 것이다.
아래의 그림은 내가 사용자 설정을 좀 바꾼 모습이다.
그렇지만 크게 다르지는 않으니, 본인의 화면과 비교하여 참고하면 된다.
맨 처음 MATLAB을 열면, 아마 '편집기'가 열려있지 않고, '현재 폴더', '작업공간', '명령 창'만 있을 것이다.
편집기
우선 아래의 그림처럼 "새로 만들기" >> "스크립트"를 클릭한다.
그러면 새 스크립트, 즉 편집기가 생길 것이다.
"스크립트"란, 우리가 코드를 작성하는 공간이다.
새로운 스크립트를 열어서 새로운 코드를 작성할 수 있고, 완성된 코드(스크립트)는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되는 스크립트의 파일 형식(확장자)은 m파일이다.
명령창
하단에 있는 명령창에도 코드를 적고 enter를 누르면 코드가 실행되기는 한다.
그렇지만, 명령창에서는 한줄씩만 쓰고 실행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무엇보다, 명령창에 적은 코드는 m파일 형식으로 따로 저장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휘발성이 강하다. 그래서 명령창은 간단한 명령을 입력할 때 사용한다.
명령창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다.
1. 간단한 명령 실행
2. 우리가 실행한 코드 결과 확인
3. 경고문 확인
작업공간
작업공간은 코드를 실행시키는 과정에서, 새로 생성되는 변수들이 나타나는 공간이다.
이곳에서 변수들의 크기, 형식, 그리고 읽어들인 외부의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해당 변수를 마우스로 더블클릭하면, 해당 변수에 어떤 값들이 저장되어 있는지 보다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현재 폴더
현재 폴더는 지금 작업하고 있는 스크립트(m파일)이 저장되어 있는 폴더를 보여준다.
‘현재 폴더’ 기능을 통해 외부 데이터를 불러오는 것도 가능하다. (그렇지만, 실행할 때마다 일일히 데이터를 불러오는 것은 상당히 수고스러운 작업이기 때문에, 웬만하면 코드를 작성하여 데이터를 불러오는 것이 낫다.)
다만, 유의할 것은 ‘현재 폴더’에서 보여주고 있는 폴더가 [현재 작업하고 있는 m파일이 저장된 공간]이어야 m파일이 실행된다. 그리고 외부 데이터를 읽어 들일 때는, [해당 외부 데이터]가 [현재 m파일이 저장된 공간]과 같은 곳에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 이게 뭔 말인지 헷갈릴 수 있는데,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가 코드를 작성하여 [Beginning class]라는 폴더에 Iamwonder.m 이라는 m파일로 저장했다. 이 Iamwonder.m 파일의 내용을 보면, Iknow.dat 이라는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코드가 적혀 있다. 그런데 Iknow.dat이라는 데이터는 (내 컴퓨터 상에서) lamwonder.m 과 같은 폴더에 저장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Advanced class]라는 폴더에 저장되어 있다. 그러면 아무리 Iamwonder.m 파일을 실행시키더라도, MATLAB에서 Iknow.dat 데이터가 어디에 있는지 못 찾기 때문에 코드가 실행되지 않으며, error message가 뜬다.
'초급-MATLAB 해양자료처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TLAB - 배열 Array (0) | 2023.05.17 |
---|---|
MATLAB 시작 - 4 : 실습 (0) | 2023.04.25 |
MATLAB 시작 - 3 : 주석 달기 & 퍼블리시 기능 (0) | 2023.04.25 |
MATLAB 시작 - 2 (0) | 2023.04.25 |
MATLAB DOWNLOAD / MATLAB 다운로드 (0) | 2023.04.25 |